지역화폐 효과 입증 매출 늘고 생존율까지 높아져
음식점·마트 중심 지역화폐 사용, 자영업 생존율 18%P 상승 비결은?
지역화폐의 긍정적인 영향이 다시 한번 수치로 입증되었습니다. BC카드의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지역화폐를 사용하는 자영업자의 생존율이 2023년보다 무려 18%포인트 높아졌습니다. 특히 음식점, 마트, 병원 등 생필품 관련 업종에서 지역화폐 사용이 집중되며 매출 증가로 이어졌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전체 매출 역시 전년 대비 9% 증가해 지역화폐의 실질적인 경제 파급력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지역화폐 사용, 자영업자 생존율 크게 높여
지역화폐를 이용한 소상공인의 생존율은 2023년 대비 2024년 18%포인트나 상승했습니다.
이는 고정적인 소비 수요를 창출하면서도 유동성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주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코로나 이후 회복기에 접어들며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한 지역화폐가 다시 한 번 핵심 역할을 한 셈입니다.
BC카드 데이터로 본 지역화폐 매출 증감 추이
BC카드는 자사 결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역화폐 관련 매출을 분석했습니다.
2024년 지역화폐 매출은 2023년 대비 약 9% 증가했습니다. 특히
음식점과 마트가 매출 증가를 주도했으며, 병원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는 실생활에 밀접한 업종에서 지역화폐가 활발히 사용된 결과로
해석됩니다.
업종별 매출 비중, 음식점·마트가 선두
아래 표는 2024년 지역화폐 사용 업종별 비중을 정리한 것입니다.
업종 매출 비중(%)
음식점 | 37.2 |
마트 | 25.8 |
병원 | 11.4 |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업종은 음식점이었으며, 다음은 마트, 그 뒤는 병원이었습니다.
이처럼 생존과 생활에 필수적인 업종에서 지역화폐 사용이 활발했습니다.
소비자는 편리, 자영업자는 안정 ‘윈윈’ 구조
지역화폐는 사용자에게는 할인과 혜택, 소상공인에게는 고정 고객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지역 기반 상권에서 고객
이탈을 줄이는 역할을 하면서 매출 안정성 확보에 기여했습니다.
그 결과 자영업 생존율 상승이라는 효과로 연결되었습니다.
2024년 지역화폐 사용자 수는?
전체 사용자 수도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2024년 기준
지역화폐 사용자 수는 전년 대비 6.4% 증가하였고,
특히 30대~50대의 이용률이 높았습니다. 아래 표는
연령대별 사용자 증가율입니다.
연령대 증가율(%)
30대 | 8.1 |
40대 | 7.5 |
50대 | 6.2 |
생활 밀착형 소비가 잦은 연령대에서 지역화폐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습니다.
정책 방향, 실효성 확보가 관건
정부와 지자체는 지역화폐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발행 규모 확대뿐 아니라
사용처의 다양화, 가맹점 관리, 사용자 접근성 개선 등의 종합적인 방향이 필요합니다.
일회성 소비 유도가 아니라 상시적인 지역경제 순환 구조로 연결되기 위해
제도적 뒷받침이 필수적입니다.
결론 : 지역화폐, 지역경제 생태계의 중추로
2024년 지역화폐 분석은 단순한 소비 촉진 수단을 넘어 지역경제의
생존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영업 생존율
18%포인트 상승이라는 수치는 단순한 정책 효과를 넘어
지역 내 자본 선순환의 증거입니다. 지속가능한 경제를 위해
지역화폐의 역할 확대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정보전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난해 HIV 신규 감염 975명 20대~30대 비율 '67%' 집중 조명 (0) | 2025.07.06 |
---|---|
초보운전자라면 무조건 알아야 할 7월 자동차보험료 할인 꿀팁 (0) | 2025.07.06 |
여름방학 체험학습 추천장소, 아이가 반할만한 곳 총정리 (2) | 2025.07.05 |
반려동물 여름철 폭염 대비 건강관리 필수 체크리스트 (0) | 2025.07.05 |
2025년 7월, 출산가정에 쏟아지는 1억 7천만 원 혜택 총정리 (0) | 2025.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