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하반기 스마트폰 전쟁
하반기 전략폰 대전, 삼성·애플·샤오미가 이끄는 기술 격돌의 핵심은?
2025년 하반기 스마트폰 시장은 '교체 시즌'답게 주요 제조사들의 전략 신제품 발표가 잇따르며 뜨거운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 애플, 모토로라, 샤오미, 구글, 화웨이 등 글로벌 브랜드들이 AI 강화, 카메라 성능 향상, 초슬림 디자인을 중심으로 경쟁에 돌입합니다. 폴더블과 슬림폰이라는 두 흐름이 맞부딪히며 시장 점유율 경쟁도 본격화될 예정입니다.
삼성, 폴더블폰과 슬림폰 투트랙으로 시장 방어 나서다
2025년 7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갤럭시 언팩’ 행사에서
삼성은 폴더블폰 신제품인 갤럭시 Z 폴드6와 플립6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Z폴드6는 기존 대비 두께와 무게를 줄이고 카메라 기능도 향상시킬 예정이며,
Z플립6는 배터리가 4,000mAh로 증가해 전작보다 300mAh 더 많은 용량을 자랑합니다.
한편, 상반기에 공개된 갤럭시 S25 시리즈는 하반기까지 판매 주력 라인업으로 유지됩니다.
특히 S25 슬림 모델은 두께 6mm, 25W 무선 충전, 최대 16GB 램을 갖춰
슬림함과 고성능을 동시에 갖춘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애플, ‘아이폰 17 에어’로 초슬림 시장 정조준
아이폰 17 시리즈의 새로운 모델로 예상되는 ‘아이폰 17 에어’는
2025년 하반기 출시될 예정이며, 두께 6.25mm로 삼성의 S25 슬림과 정면 경쟁합니다.
OLED 디스플레이와 차세대 칩셋을 탑재할 것으로 보이며,
AI 기반 카메라 처리 성능과 배터리 효율도 대폭 향상될 전망입니다.
모토로라, 플립형 폴더블폰의 영역 확대
2025년 6월 또는 그 직후 공개가 예상되는 모토로라 레이저 50 시리즈는
플립형 폴더블폰 시장에서 삼성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습니다.
레이저 50 울트라는 3.6인치 외부 디스플레이와 165Hz POLED 내부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스냅드래곤 8 3세대 칩셋, 5천만 화소 듀얼 카메라, 3,200만 전면 카메라 등
전반적인 성능 업그레이드가 특징입니다.
주요 사양 레이저 50 울트라
칩셋 | 스냅드래곤 8 Gen 3 |
외부화면 | 3.6인치 (확대됨) |
카메라 | 5,000만+5,000만 (망원) |
전면카메라 | 3,200만 화소 |
샤오미, 초고화소·고속충전으로 카메라 애호가 공략
샤오미 15 울트라는 2억 화소 카메라와 2K OLED, 6,000mAh 배터리,
90W 유선 및 50W 무선 충전을 지원하며, MWC 2025에서 글로벌 공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라이카와의 협업을 통해 촬영 기능이 대폭 향상되었고,
전용 촬영용 손잡이 옵션까지 제공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하반기에는 ‘샤오미 믹스 플립’이라는 첫 플립형 폴더블폰도 선보일 예정으로
삼성, 모토로라와의 폴더블 시장 경쟁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구글, 픽셀 10으로 AI 전면 내세운다
구글의 픽셀 10 시리즈는 2025년 하반기 출시되며,
픽셀 10 프로 XL과 픽셀 10 폴드는 AI 기능이 대폭 강화됩니다.
3나노 공정 기반 텐서 G5 칩셋은 TSMC에서 제조되며,
전력 효율성과 발열 관리에서 전작 대비 개선된 성능을 제공합니다.
픽셀 10 시리즈 주요 특징
칩셋 | 텐서 G5 (3나노) |
배터리 용량 | 5,300mAh (증가됨) |
AI 기능 | 제미나이 기반 카메라 · 비서 기능 강화 |
OS | 안드로이드 16 |
화웨이, 3단 폴더블폰으로 시장에 반전 노린다
2025년 2분기 화웨이는 세계 최초 3단 폴더블 구조의
‘메이트 XT 얼티메이트’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중국 내 애국 소비 흐름과 기술 혁신에 힘입어 글로벌 점유율 확장을 노리고 있으며,
기술적 난도가 높은 트리플 폴딩 구현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글로벌 폴더블폰 점유율, 삼성 1위지만 하락세 뚜렷
2024년 기준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 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조사 점유율(%)
삼성전자 | 66.4 |
화웨이 | 11.9 |
샤오미 외 | 비공개 |
삼성은 여전히 시장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전년 대비 13.6%p 감소한 수치를 기록하며 중국 업체들의 추격을 받고 있습니다.
2025년 하반기 신제품 전략이 향후 점유율 회복에 큰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마무리 : 슬림과 폴더블, AI와 카메라 경쟁의 교차점
2025년 하반기 스마트폰 시장의 핵심 키워드는
‘초슬림’, ‘폴더블’, ‘AI 혁신’, ‘카메라 경쟁’으로 요약됩니다.
삼성은 Z6 시리즈와 S25 슬림으로,
애플은 아이폰 17 에어로,
모토로라는 레이저 50으로,
샤오미는 초고화소 카메라와 믹스 플립으로,
구글은 텐서 G5와 AI 강화로
각자의 방식으로 소비자 교체 수요에 응답하고 있습니다.
'정보전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여름 생존 가이드: 장마와 폭염, 지금 준비해야 할 것들 (0) | 2025.07.01 |
---|---|
재택근무, 끝났나? 다시 출근하는 시대의 시작과 유연근무의 미래 (6) | 2025.06.30 |
여름철 코로나19 재유행? 고위험군 백신 접종 다시 받아야 하는 이유 (0) | 2025.06.30 |
디지털 노마드 비자 확대, 해외에서 일하며 사는 시대의 도래 (0) | 2025.06.29 |
생성형 AI 규제 본격화, 챗GPT의 미래는 어떻게 바뀔까? (0) | 2025.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