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전달

2025 여름 생존 가이드: 장마와 폭염, 지금 준비해야 할 것들

by Delivery of information 2025. 7. 1.

장마와 폭염

2025 여름 생존 가이드 : 장마와 폭염, 지금 준비해야 할 것들

기후재난의 계절, 장마와 폭염을 안전하게 이겨내는 방법은?

2025년 여름, 대한민국은 평년보다 더 덥고 습한 날씨가 예보되고 있습니다. 장마는 30일 이상 지속되고, 폭염은 40도에 육박할 가능성이 있으며, 전국적으로 침수·정전·열사병 등의 피해가 우려됩니다. 본 글에서는 기상청 데이터와 정부 발표를 토대로 여름철 장마·폭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전 생존법을 제시합니다. 반드시 기억하고 실천하셔야 할 핵심 정보와 숫자, 체크리스트까지 모두 담았습니다.


2025년 여름, 기후 전망부터 확인하세요

2025년 여름은 평균 기온이 평년보다 0.5도~1도 높을 확률이 60%에 달합니다.

장마는 6월 중순부터 7월 말까지 전국적으로 32일 이상 지속되며, 특히 제주도는 6월 19일부터 시작됩니다.

지역별 예상 강수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 예상 강수량(mm)

제주도 450~500
남부 400~450
중부 350~400

습도는 80% 이상으로 높아지고, 불쾌지수와 열대야 발생 빈도도 급증할 전망입니다. 특히 도심 지역은 열섬 현상으로 인해 체감온도가 2도~3도 더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피해 사례에서 배우는 교훈

2023년 중부지방에는 장마철 하루 강수량 80mm 이상을 기록하는 날이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산사태, 반지하 주택 침수, 하천 범람 등 인명 피해로 이어졌습니다.

전국 산사태 위험지역은 약 95,000개소로, 방치 시 대형 사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또한 2023년에는 일부 지역에서 40도에 가까운 폭염이 20일 이상 지속되며 온열질환자가 급증했습니다.

도시의 경우 도심 열섬으로 인해 야외 활동 중 열사병 발생 사례도 증가했습니다.


장마철, 집 안부터 밖까지 이렇게 대비하세요

배수구와 하수구를 사전 점검해 낙엽, 흙먼지, 이물질을 제거하면 침수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창틀, 외벽, 옥상 등의 방수 상태를 점검하고, 실리콘 마감 부위를 보수하세요.

누전차단기 테스트는 감전사고를 막기 위해 꼭 필요합니다.

습기 관리는 곰팡이와 곤충 번식을 막기 위한 필수 작업입니다.

다음은 장마철 실내 대비 요령입니다.

점검 항목 권장 조치

배수구 낙엽 제거 및 막힘 여부 점검
누전차단기 테스트 버튼으로 작동 확인
제습기/에어컨 필터 청소 및 작동 점검

지하 공간에 거주 중이라면 차수판 설치, 비상펌프 준비, 대피경로 확보도 잊지 마세요.


폭염 대비, 당신의 일상은 안전하신가요?

폭염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체온 유지와 수분 섭취입니다.

낮 12시부터 17시까지는 외출을 자제하고, 그늘이나 실내에서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밝고 통풍이 잘 되는 옷을 입고, 모자나 양산을 활용해 체온 상승을 막는 것이 좋습니다.

에어컨과 선풍기는 실내 환기와 병행해 사용해야 효과적입니다.

정전이나 단수 상황을 대비해 다음 비상물품을 준비해두세요.

비상물품 수량 기준

생수 하루 2L × 가족 수
손전등 1인 1개 이상
비상식량 3일 이상 분량

농촌과 취약지역은 이렇게 준비해야 합니다

농촌 지역은 논밭 배수로를 정비하고, 비닐하우스 고정 및 병해충 방제를 우선해야 합니다.

취약계층이 거주하는 반지하 주택이나 노후 건물은 비상 펌프, 방수시설을 확보해야 하며, 대피시설 위치도 미리 숙지해야 합니다.

지자체는 지능형 CCTV 1,000대를 운영하며, 위험지역 전수조사를 완료한 상태입니다.


정부와 지자체의 여름철 재난 대응책

정부는 5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 풍수해 대책기간을 운영하며, 폭염 대책은 9월 30일까지 강화됩니다.

폭염저감시설인 도심 그늘막, 살수차, 무더위쉼터도 확대 중입니다.

취약계층을 위한 폭염대책비 150억 원이 조기 교부되어 냉방기기, 의료지원 등이 강화됩니다.

산사태 예보 시스템도 개선되어 실시간 정보 제공이 가능합니다.


실천 체크리스트로 재난을 예방하세요

  1. 실내외 배수구·하수구 청소 완료했나요?
  2. 창문, 외벽, 누전차단기 점검하셨나요?
  3. 습기 제거 장비는 작동 상태인가요?
  4. 기상청 앱과 재난문자 수신 설정을 했나요?
  5. 생수, 비상식량, 손전등이 준비돼 있나요?
  6. 낮 시간대 외출을 피하고 수분 섭취하고 있나요?
  7. U-119 안심콜과 비상연락망 확보하셨나요?

이 모든 점검과 실천은 단순한 준비가 아닌 생명을 지키는 행동입니다.

2025년 여름, 기후재난은 예외가 아닌 일상입니다. 가족과 이웃 모두가 안전할 수 있도록 함께 준비하세요.